본문 바로가기
사업 및 실 생활 활용 위한 법률 정보&제도 정리

생활법률정보_생활법률정보_건축법 등 위반건축물(불법건축물)_위법한 건축물에 대한 규제 법령 개요

by 행복나눔공간 2024. 11. 24.
반응형

<위법한 건축물에 대한 규제 법령(예시)>

 

[건축법 등 위반건축물 관련 법령 개관]

 

- 건축법 등 위반건축물에 대한 규제 법령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법령 조문 내용
「건축법」 규제「건축법」 제79 시정명령, 영업허가 금지 등 불이익 처분, 건축물대장 상 위반내용 기재 등
규제「건축법」 제80 이행강제금(60제곱미터 이하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특례, 건축 및 대수선 등 위반행위에 대한 부과 요율, 영리 목적 위반 시 가중 부과, 부과 횟수, 징수 방법 등)
「건축법」 제80조의2 위 제80조에 따른 이행강제금에 대한 감경 특례
「건축법」 제85 행정대집행
「건축법」 제108, 110조 및 제111 벌칙
「건축법 시행령」 규제「건축법 시행령」 제115조의2 및 별표 15 사용승인, 대지의 조경, 높이제한 등 위반행위에 대한 부과요율 및 이행강제금 부과 및 징수절차
「건축법 시행령」 제115조의3 이행강제금의 탄력적 운영
「건축법 시행령」 제115조의4 이행강제금의 감경
「주차장법」 「주차장법」 제19조의4 부설주차장의 용도변경 금지 및 부설주차장의 본래 기능 유지 의무, 용도변경 금지 및 본래 기능 유지 의무 위반이 아닌 경우, 용도변경·본래 기능 유지 위반 시 원상회복 명령 및 해당 건축물의 위반건축물 의제(영업허가 금지 등), 행정대집행
「주차장법」 제32 이행강제금(19조의4 원상회복 명령 불응 시) 부과 및 부과 요율(용도변경 금지 및 본래 기능 유지 의무 위반), 부과 횟수 및 그 제한
규제「주차장법」 제29조 및 제31 벌칙
「주차장법 시행령」 「주차장법 시행령」 용도변경 금지 및 본래 기능 유지 의무 위반이 아닌 경우 등

 

 

 

법령 조문 내용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 개발제한구역에서의 건축, 용도변경 및 공작물의 설치 등의 행위제한, 주택 및 근린생활시설의 대수선 등에 관한 사항, 허가 또는 신고의 대상이 되는 건축물이나 공작물의 규모·높이·입지기준, 대지 안의 조경, 건폐율, 용적 등 세부 기준 등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30 시정명령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30조의2 이행강제금(부과 대상 행위, 부과 요율, 부과 횟수, 징수 방법 등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30조의3 이행강제금 징수 유예 특례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31, 32조 및 제33 벌칙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34 과태료

 

 

 

법령 조문 내용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13조 및 별표 1 허가 대상 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종류 등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18 근린생활시설 등의 용도변경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19 신고의 대상(주택 및 근린생활시설의 증축·개축 및 대수선 등)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22조 및 별표 2 허가 또는 신고의 세부 기준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41조의2 및 별표 5 이행강제금의 산정기준 및 부과 방법 등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41조의3 이행강제금 부과 기준에 관한 특례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41조의4 이행강제금 징수 유예 특례
규제「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42조 및 별표 6 과태료

 

 

 

<관련 기관 주요 홈페이지 링크 및 마치는 글>

 

이상으로 생활법률정보_생활법률정보_건축법 등 위반건축물(불법건축물)_위법한 건축물에 대한 규제 법령 개요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등은 정부24 홈페이지 및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한민국법원 전자민원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권익위원회 공익신고하기 바로가기

 

 

[법령 질의]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법제처 생활법령정보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