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 및 실 생활 활용 위한 법률 정보&제도 정리

생활법률정보_농지 이용_대리경작, 주말·체험영농_대리경작기간 및 대리경작의 중지·해지, 대리경작 기간 및 토지사용료, 대리경작의 중지 및 해지

by 행복나눔공간 2024. 12. 28.
반응형

<대리경작 기간 및 토지사용료>

 

[농지의 대리경작 기간]

 

- 대리경작 기간은 따로 정하지 아니하면 3년으로 합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3).

 

[토지사용료의 지급]

 

- 대리경작자는 수확량의 100분의 10을 대리경작농지에서 경작한 농작물의 수확일부터 2개월 이내에 그 농지의 소유권자나 임차권자에게 토지사용료로 지급해야 합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4항 전단 및 「농지법 시행규칙」 제18조제1).

 

- 이 경우 소유권자나 임차권자가 수령을 거부하거나 지급이 곤란한 경우에는 토지사용료를 공탁할 수 있습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4항 후단).

 

- 대리경작자가 특별한 사유 없이 위의 기간에 토지사용료를 지급하지 않은 때에는 토지사용료에 그 기간 만료일의 다음날부터 토지사용료를 지급하는 날까지의 기간에 연리(年利) 12퍼센트로 계산한 금액을 가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4항 전단 및 「농지법 시행규칙」 제18조제2).

 

- 위 토지사용료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경우 그 금액은 지급 당시 해당 농작물의 농가판매가격(국가·지방자치단체 및 농업생산자단체에서 매입하는 작물의 경우에는 2등품의 매입가격을 말함)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합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4항 전단 및 「농지법 시행규칙」 제18조제3항 본문).

 

- 다만, 해당 농지의 소유권 또는 임차권을 가진 자와 대리경작자가 토지사용료의 지급방법에 관하여 따로 합의한 경우에는 그에 따릅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4항 전단 및 「농지법 시행규칙」 제18조제3항 단서).

 

 

 

<대리경작의 중지 및 해지>

 

[대리경작의 중지]

 

- 대리경작 농지의 소유권자 또는 임차권자가 그 농지를 스스로 경작하려면 대리경작 기간이 끝나기 3개월 전까지, 그 대리경작 기간이 끝난 후에는 대리경작자 지정을 중지할 것을 시장(()를 두지 않은 시의 시장을 말함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신청해야 합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5, 규제「농지법 시행규칙」 제19조 및 별지 제13호서식).

 

- 신청을 받은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은 신청을 받은 날부터 1개월 이내에 대리경작자 지정 중지를 그 대리경작자와 그 농지의 소유권자 또는 임차권자에게 알려야 합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5).

 

 

 

[대리경작의 해지]

 

-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은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대리경작 기간이 끝나기 전이라도 대리경작자 지정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규제「농지법」 제20조제6항 및 규제「농지법 시행령」 제21).

 

- 대리경작 농지의 소유권자나 임차권자가 정당한 사유를 밝히고 지정 해지신청을 하는 경우

- 대리경작자가 경작을 게을리하는 경우

- 대리경작자로 지정된 자가 토지사용료를 지급 또는 공탁하지 않은 경우

- 대리경작자로 지정된 자가 대리경작자의 지정해지를 신청하는 경우

 

 

 

<Q&A>

 

Q : (부동산/임대차 : 농지 이용: 농지의 대리경작기간 및 토지사용료) 농지를 대리경작하려고 하는데, 대리경작기간은 얼마나 되고 내야하는 돈은 얼마나 되나요?

 

A : 대리경작 기간은 따로 정하지 않으면 3년으로 하며, 그 농지에서 경작한 수확량의 100분의 10을 수확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토지사용료로 지급해야 합니다.

 

농지의 대리경작기간

☞ 대리경작 기간은 따로 정하지 아니하면 3년으로 합니다.

 

토지사용료의 지급

☞ 대리경작자는 수확량의 100분의 10을 대리경작농지에서 경작한 농작물의 수확일부터 2개월 이내에 그 농지의 소유권자나 임차권자에게 토지사용료로 지급해야 합니다.

· 이 경우 소유권자나 임차권자가 수령을 거부하거나 지급이 곤란한 경우에는 토지사용료를 공탁할 수 있습니다.

 

☞ 대리경작자가 특별한 사유 없이 위의 기간에 토지사용료를 지급하지 않은 때에는 토지사용료에 그 기간 만료일의 다음날부터 토지사용료를 지급하는 날까지의 기간에 연리(年利) 12퍼센트로 계산한 금액을 가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 위 토지사용료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경우 그 금액은 지급 당시 해당 농작물의 농가판매가격(국가·지방자치단체 및 농업생산자단체에서 매입하는 작물의 경우에는 2등품의 매입가격을 말함)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합니다.

 

· 다만, 해당 농지의 소유권 또는 임차권을 가진 자와 대리경작자가 토지사용료의 지급방법에 관하여 따로 합의한 경우에는 그에 따릅니다.

 

 

 

<관련 기관 주요 홈페이지 링크 및 마치는 글>

 

이상으로 생활법률정보_농지 이용_대리경작, 주말·체험영농_대리경작기간 및 대리경작의 중지·해지, 대리경작 기간 및 토지사용료, 대리경작의 중지 및 해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등은 정부24 홈페이지 및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한민국법원 전자민원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권익위원회 공익신고하기 바로가기

 

 

[법령 질의]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법제처 생활법령정보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