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정책자금은 중소기업기본법 상의 중소기업이 대상이며, 이번 편에서는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공장 지원하는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역량진단을 정리하였습니다.
<사업 개요>
1. 공급기업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정보를 제공하여 공급기업의 자발적 역량강화 및 도입기업의 양질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촉진하도록 공급기업 역량진단 지원합니다.
2. 지원규모는 총 3억 원이며, 300여 개의 기업에 대해 지원 예정입니다. 상세 내용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3. 공고(예정) 시기는 2023년 12월부터 예산 소진까지 수시모집입니다. 예산이 소진되기 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4. 사업관리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신청 가능합니다.
사업관리 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
5. 선정평가는 서류심사 → 요건검토 → 진단실시 → 성과분석 순으로 진행됩니다.
6. 심사·평가 주요 내용은 사업화가능성, 컨소시엄 역량, 솔루션 개발 및 실증 전략 등을 평가합니다.
7. 제출서류는 역량진단 신청서 및 관련 동의서 등 공고문 확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8. 전화 상담은 중소기업통합콜센터 국번없이 ☎1357로 문의 가능합니다.
<지원 대상>
1. 신청 자격 : 중소ㆍ중견기업 중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2. 지원 조건 : 역량진단비용 80~100%3. 신청제외 대상
구분 | 기본역량진단 | 심화역량진단 |
지원조건 | 진단비용 100% 전액지원 (기업당 최대 80만원) |
진단비용 80% 지원 (기업당 최대 152만원) |
3. 신청제외 대상
▸ 휴ㆍ폐업 중인 기업
▸ 국세 및 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
▸ 유흥ㆍ향락업, 숙박ㆍ음식점,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
▸ 최근 3년이내에 스마트제조혁신지원사업과 관련하여 제재조치를 받은 기업
▸ ’23년 공급기업 역량진단(기본ㆍ심화) 후, 6개월 미만 기업
<지원 내용>
1. 지원 세부 내용 : 중소ㆍ중견 공급기업의 역량진단을 위한 자가역량진단 및 전문역량진단(기본ㆍ심화) 지원
- (자가역량진단) 공급기업이 자사의 역량을 스스로 진단하고 수준을 제고할 수 있도록 자가 역량진단 기능제공
- (기본역량진단) 개발된 역량진단모델을 기반으로 전문진단원의 현장방문을 통해 진단표에 따라 진단 후 진단결과를 기업에 제공
- (심화역량진단) 단계별 기본진단 후 분야별 세부 진단 및 개선방향에 대한 컨설팅을 희망하는 기업에 제공
2. 지원 규모 : 공급기업 300개
3. 지원 금액 : 3억원
<추진 절차>
1. 진단원 양성교육(전담 기관) – 2. 진단 정보 제공(전담 기관) – 3. 모집공고(중소벤처기업부) – 4. 신청접수(희망 공급기업, 전담 기관) – 5. 요건 검토(전담 기관) – 6. 진단 실시(운영 기관) – 7. 중간 성과 분석(운영 기관) – 8. 최종 성과 분석(운영 기관, 전담 기관)
이상으로 중소기업 정책자금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역량진단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원하시는 결과 얻으시기 바라겠습니다.
'중소기업정책자금&자금지원총정리(기업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정책 자금(중소기업 기술보호 역량 강화) (0) | 2024.04.13 |
---|---|
중소기업 정책 자금(클라우드형 스마트공장 종합솔루션 개발지원사업) (0) | 2024.04.13 |
중소기업 정책 자금(스마트 마이스터 활용지원사업) (1) | 2024.04.12 |
중소기업 정책 자금(스마트공장 AS 지원사업) (1) | 2024.04.12 |
중소기업 정책 자금(스마트공장 수준확인제도) (0)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