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중 산소농도가 부족한 장소에서 발생한 산소결핍증>
[산소결핍증]
[발생원 및 노출가능상황]
○ (산소결핍)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산소농도가 18%미만일 경우로 규정
- 산소결핍증이란 산소가 결핍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생기는 이상증상을 말함
- 산소결핍은 물질의 산화나 부식, 미생물의 호흡작용, 식물, 곡물, 목재 등의 부패, 작업공간의 공기가 다른 가스로 치환되는 경우에 발생함
○ 환기가 충분하지 않은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 가능
- 지하 맨홀이나 분뇨탱크, 폐수 또는 하수처리설비 등에서 호발
- 습도와 온도, 유기물의 영양분 등으로 미생물의 번식이 쉬워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메탄가스 등이 발생하며 산소농도는 급격히 저하됨
- 환기가 부족한 밀폐된 공간에서 철제 보일러, 압력용기, 반응탑, 선박 등 금속산화물 또는 녹슬기 쉬운 철재, 산화반응이 쉬운 탱크가 있는 경우는 공기 중 산소와의 산화반응으로 산소의 농도가 낮아지게 됨
[증상 및 진단]
○ 산소소비량이 가장 높은 장기는 뇌임 따라서 산소 공급량이 감소하게 되면 뇌의 활동성이 저하되고, 산소가 없이 2분이 경과되면 대뇌의 피질 세포가 비가역적으로 손상되고 6-8분 후에는 전신의 장기가 영향을 받아 사망에 이르게 됨
○ 산소의 농도에 따른 증상은 다음과 같음
산소의 농도(%) | 증상 |
15 ~ 19.5 | 피로, 피곤, 작업능력 저하, 지구력 감소 |
12 ~ 15 | 맥박과 호흡수 증가, 협동운동장애, 행동의 부조화, 판단능력저하 |
10 ~ 12 | 맥박이 빨라지며 직무 수행 불가함, 입술에 청색증 발생 |
8 ~ 10 | 실신, 구토, 의식소실, 창백 |
6 ~ 8 | 사망률이 8분 노출의 경우 50~100%, 6분 노출의 경우 25~50%, 4~5분 노출시 치료후 회복 가능 |
4 ~ 6 | 40초 내로 혼수상태, 혼수, 호흡정지, 사망 |
○ 국내사례
- 최근 5년간 산소부족 또는 유해가스 중독으로 사망하는 사례는 매년 30~60여 명임. 밀폐 공간 작업의 범위가 매우 넓고 무색, 무취한 유해가스에 노출될 경우 위험성 판단이 어렵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예방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예방조치]
○ 밀폐공간 작업시 작업전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적정 산소농도 (18~23.5%) 확인
관련 규정 예시 |
※ 공기 중 산소농도 부족 등으로 인한 산소결핍증 중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과 직접 관련된 의무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상 주요 규정 ▴보건조치(제39조)* ▴특수건강진단 등(제130조) ▴유해ㆍ위험작업에 대한 근로시간 제한 등 (제139조)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0장 밀폐공간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제618조~제645조) 등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및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관련 정보>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전국 고용복지+센터 목록 검색창에서 시도 및 시군구, 센터명, 관할지역, 전화번호를 통합하여 검색하면, 거주지역 고용복지플러스센터 관련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검색어 예시 : ‘서울‘ 또는 ‘송파구’ 또는 ‘고용’ 또는 ‘02’ (전화번호 일부)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공기 중 산소농도가 부족한 장소에서 발생한 산소결핍증에 대한 해설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상기 내용은 고용노동부 중대재해처벌법해설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