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정책자금은 중소기업기본법 상의 중소기업이 대상이며, 이번 편에서는 AI·디지털트윈 기반 자율형공장 구축 지원하는 자율형공장 구축지원 제도를 정리하였습니다.
<사업 개요>
1. AI·디지털트윈 기반 실시간 관제, 분석·예측 등 작업자 개입을 최소화하는 자율형공장 구축 지원합니다.
2. 지원규모는 총 사업비의 50% 이내에서 정부지원금을 연 3억원, 최대 2년간 지원합니다. 컨소시엄 당 최대 10억 원 한도입니다. 상세 내용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3. 공고(예정) 시기는 2023년 12월입니다.
4. 사업관리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신청 가능합니다.
사업관리 시스템 홈페이지 바로가기 |
5. 선정평가는 서면평가(사업신청서) → 기획지원 → 기술성(현장 심층) 평가 순으로 진행됩니다.
6. 심사·평가 주요 내용은 기술성(현장 심층)평가를 통해 사업계획서 평가 및 지원대상 선정하며, 전문 원가계산기관을 통해 사업비 검토 및 조정 진행됩니다. 사업별 심사・평가 내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세부사업 공고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7. 제출서류는 사업신청서 등(지원사업별 세부 공고문 참조)입니다.
8. 전화 상담은 중소기업통합콜센터 국번없이 ☎1357로 문의 가능합니다.
<지원 대상>
1. 신청자격 :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중 ‘중간1’ 이상 스마트공장 구축기업 또는 ‘중간1’ 이상 수준 확인 기업
2. 지원이 안되는 기업
▸ 휴·폐업중인 기업
▸ 국세 및 지방세 체납기업
▸ 유흥·향락업, 숙박·음식점 등 부적합 업종
▸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
▸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참여중인 기업(해당 지원사업 종료 후 참여가능)
<지원 내용>
1. (진단·기획) 기업별 공정분석, 실행전략 등 자율형공장 구축기획 등
2. (구축) AI·디지털트윈을 적용, 가상환경 기반의 자율형공장 구축 등
3. 지원 조건 : 총 사업비 50% 이내, 정부지원금 연 3억원, 최대 2년
구분 | 지원조건 | 정부지원금 (최대) |
고도화1 | ㅇ 중간1 수준 이상 스마트공장 구축 * 생산정보 실시간 수집‧분석(AI·디지털트윈 적용) |
6억원(2년) |
<추진 절차>
1. DX역량 사전진단(중소‧중견기업, 컨소시엄) –
2. 사업공고(총괄 기관) –
3. 신청접수(중소‧중견) –
4. 요건 검토(추진 기관) –
5. 서면 평가(추진 기관) –
6. 기획 지원(도입‧기획‧공급기업) –
7. 기술성(현장 심층) 평가(추진 기관) –
8. 협약 체결(추진 기관, 컨소시엄, 운영 기관) –
9. 중간 점검(운영 기관, 추진 기관) –
10. 최종 감리(감리 기관) –
11. 완료 점검, 집중 A/S(운영 기관, 추진 기관) –
12. 최종 평가(운영 기관, 추진 기관)
<공고 참조 경로>
1. 사업관리시스템
- 공고명 : 2024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공고
- (경로) 스마트공장사업관리시스템 – 공지사항 – 2024년 통합공고
스마트 테크브릿지 홈페이지 바로가기 |
이상으로 중소기업 정책자금 자율형공장 구축지원 제도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원하시는 결과 얻으시기 바라겠습니다.
'중소기업정책자금&자금지원총정리(기업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정책 자금(스마트공장 수준확인제도) (0) | 2024.04.12 |
---|---|
중소기업 정책 자금(로봇활용 제조혁신 지원) (0) | 2024.04.12 |
중소기업 정책 자금(디지털협업공장) (0) | 2024.04.11 |
중소기업 정책 자금(선도형 제조혁신) (0) | 2024.04.11 |
중소기업 정책 자금(중소기업 기술거래 활성화 지원)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