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이나 그 화합물에 노출되어 발생한 급성중독>
[수은]
* (수은) 원자식은 Hg이며, 상온에서 액체상을 갖는 은백색 금속으로 증발하기 쉬워 무색의 기체를 만들어서 주로 호흡기를 통해 흡입됨 (무기수은) 염소(Cl), 황(S) 등과 결합하여 흰색분말의 형태를 띄는 고체상이며 주로 호흡기를 흡수되고 신장에 주로 축적됨 (유기수은) 메틸수은(CH3Hg)과 같은 유기수은에 의한 중추신경계 장해는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효과를 보임 |
[발생원 및 노출가능상황]
○ (수은 및 무기화합물)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금속이며, 쉽게 휘발하므로 직업적인 노출의 경우는 대부분 수은증기의 흡입에 의한 것임
- 온도계, 압력계, 기압계, 밸브 등에 사용되어 왔고 기타 다양한 용도로 산업에서 사용
- 형광등 제조업 작업자들과 형광등 제조시설 철거 공장에서 노출이 된 경우가 있음
○ (유기수은) 의약품이나 농약 방부제 나무 보존을 위한 훈증제 등의 제조에 사용되며 주로 경구섭취를 통해 독작용을 일으킴
- 대부분 직업적 노출보다는 환경오염 사건과 관련이 있는데 메틸수은에 오염된 생선을 섭취하거나 알킬수은 화합물 농약 로 처리된 곡물을 먹은 경우가 해당됨
[증상 및 진단]
○ (호흡기계 및 피부) 금속수은 증기에 고농도 노출된 경우 기침, 호흡곤란, 흉통, 화학성 폐렴 및 폐부종, 피부 발진, 알레르기 반응, 결막염 등 발생
○ (중추신경계) 신경쇠약증, 저림증상, 떨림, 근긴장, 환각, 불안, 정서불안, 폭력적 행동이나 자살 경향, 보행 및 청각 장애 등
○ (신요로계) 신세뇨관 손상으로 인해 단백뇨가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신부전 가능
○ 노출 상황
노출수준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노출 후 수 시간에서 수 일 내 증상 발생하며 보통 7일 이내에는 급성 증상이 나타남
- 혈중 무기수은이 18μg/dL 또는 요 중 수은이 500μg/g creatinine을 넘는 경우나 작업환경측정 결과 수은과 무기수은 화합물의 공기 중 노출 농도가 1mg/m³ 을 넘는 경우 급성 노출 의심
- 만성독성과 관련하여 금속수은 증기의 흡입은 주로 신장과 신경계에 영향을 주고 무기화합물은 호흡기계와 신장에 영향을 줌 유기수은(알킬수은, 디메틸수은)은 경구와 피부 섭취를 통해 신경계 독성을 주로 나타냄
○ 국내 사례
* 형광등 공장 철거 시 수은 증기 노출로 인하여 급성 수은 중독 사례가 발생하였음
- 철거에 참여한 21명의 근로자 중 18명이 수은 중독 증상을 나타냈음
- 초기 증상으로는 피부발진, 가려움, 근육통, 수면장애, 기침, 가래 증상이 있음
- 이후 7명의 근로자는 불안, 우울을 포함한 정신과적 문제를 호소하였고 3명은 색소침착, 홍반을 포함한 피부과적 문제를 보였음
- 3명은 운동 이상, 2명은 손가락의 백조 목 변형(swan neck deformity), 2명은 감각마비 증상을 보였음. 2명은 비뇨기 계통 장애를 호소하였음
[예방조치]
○ 노출기준
물질 | 시간가중평균농도(mg/m3) | 단시간노출기준(mg/m3) |
아릴수은화합물 | 0.1 | 없음 |
알킬수은화합물 | 0.1 | 0.03 |
아릴 및 알킬수은화합물 제외 (피부) | 0.025 | - |
* 중추신경과 신장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수준
○ 생물학적 노출지표
- 작업전 채취한 소변 중 총 수은 농도 50μg/g creatinine
관련 규정 예시 |
※ 작업환경측정 등 유해인자와 직접 관련된 의무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상 주요 규정 ▴보건조치(제39조) ▴유해인자 허용기준의 준수(제107조)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제110조)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및 교육(제114조)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 용기 등의 경고표시 (제115조) ▴작업환경측정(제125조) ▴특수건강진단 등(제130조) ▴유해ㆍ위험작업에 대한 근로시간 제한 등(제139조) 등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및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관련 정보>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전국 고용복지+센터 목록 검색창에서 시도 및 시군구, 센터명, 관할지역, 전화번호를 통합하여 검색하면, 거주지역 고용복지플러스센터 관련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검색어 예시 : ‘서울‘ 또는 ‘송파구’ 또는 ‘고용’ 또는 ‘02’ (전화번호 일부)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수은이나 그 화합물에 노출되어 발생한 급성중독에 대한 해설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상기 내용은 고용노동부 중대재해처벌법해설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ISTJ, 회계쟁이의 세금 이야기_경영관련 법규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대산업재해처벌법 해설요약_벤젠에 노출되어 발생한 경련, 급성 기질성 뇌증후군, 혼수상태 등의 급성중독 (2) | 2024.10.12 |
---|---|
중대산업재해처벌법 해설요약_크롬이나 그 화합물에 노출되어 발생한 세뇨관 기능 손상, 급성 세뇨관 괴사, 급성신부전 등의 급성중독 (0) | 2024.10.12 |
중대산업재해처벌법 해설요약_납이나 그 화합물(유기납은 제외한다)에 노출되어 발생한 납 창백(蒼白), 복부 산통(産痛), 관절통 등의 급성중독 (1) | 2024.10.11 |
중대산업재해처벌법 해설요약_일산화탄소 등의 급성중독 (2) | 2024.10.10 |
중대산업재해처벌법 해설요약_메틸브로마이드 등의 급성중독 (0)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