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TJ, 회계쟁이의 세금 이야기_경영관련 법규정 정리

주식과 세금_주식등의 증여세 계산방법, 신고기한 요약정리

by 행복나눔공간 2024. 5. 25.
반응형

주식등 수증 시 증여세는 먼저

①증여재산가액을 산정한 후 10년 이내 증여받은 재산의 과세가액을 합산하여

②증여세과세가액을 계산하고, 해당 증여세과세가액에서 증여재산공제 및 감정평가수수료를 차감하여

③증여세과세표준을 계산하며, 이후 해당 증여세과세표준에 증여세율을 적용하여

④증여세를 계산합니다.

 

 

 

<주식등 수증 시 증여세의 계산방법>

1. 주식등 수증 시 증여세는 일반적으로 다음 순서에 따라 계산합니다.

 

1) 증여재산가액 산정

상증법에 따른 시가 또는 시가로 보는 가액 등을 기준으로 증여재산가액을 산정합니다.

 

2) 증여세 계산

증여세 과세가액 계산 증여재산가액에 해당 증여일 이전에 동일인으로부터 10년 이내에 증여받은 재산의 과세가액 합계액이 1천만 원 이상인 경우 그 과세가액을 가산하여 증여세 과세가액을 계산합니다.

이 경우 증여자가 직계존속이면 해당 동일인에는 그 배우자가 포함됩니다.

 

증여세 과세표준 계산

- 증여세 과세가액에 증여재산공제를 적용하고 감평평가수수료를 차감하여 증여세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증여세 산출세액 계산

의 증여세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증여세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납부할세액 계산

의 증여세 산출세액에 세대생략할증세액을 가산하고 세액공제·감면세액을 차감하여 납부할 세액을 계산합니다.

 

 

 

<10년 이내 증여재산의 가산>

1. 증여일 이전 10년 이내에 동일인(증여자가 직계존속인 경우에는 동일인에 그 직계존속의 배우자를 포함)으로부터 증여받은 증여세 과세가액의 합계액이 1천만 원 이상인 경우에는 그 과세가액을 해당 증여세 과세가액에 가산하여 증여세를 계산합니다.

 

2. (예시)

2016. 6. 아버지로부터 3억 원의 주식을 증여받고, 2023. 5.에 어머니로부터 2억 원의 주식을 증여받는 경우 증여세 과세가액은?

아버지와 어머니는 동일인으로 보아 10년 이내의 증여재산 합산 ▶ 5억 원

 

 

 

<주식등 증여 시 증여세 계산흐름도>


증여재산가액 ● 국내외 모든 증여재산가액
(-) 비과세 및 과세가액 불산입액 ● 비과세 :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피부양자의 생활비, 교육비 등
● 과세가액 불산입재산 : 공익법인등에 출연한 재산 등
(-) 채무부담액 ● 증여재산에 담보된 채무인수액
(+) 증여재산가산액 ● 해당 증여일 이전 동일인으로부터 10년 이내에 증여받은 재산의 과세가액 합계액이 1천만 원 이상인 경우 그 과세가액을 가산
(=) 증여세과세가액
(-) 증여재산공제





※ 위 증여재산공제 한도는 10년 간의 누계한도액임
(-) 감정평가수수료 ※ 주식에 대한 감정가액은 인정되지 않음
(=) 증여세과세표준

(X) 세율







(=) 산출세액 (증여세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 세대생략할증세액 ● 수증자가 증여자의 자녀가 아닌 직계비속이면 할증 30% 또는 40%) .
, 직계비속의 사망으로 최근친 직계비속에 증여하는 경우에는 제외
(-) 세액공제·감면세액 ● 납부세액공제 : 증여세 과세가액에 가산한 증여재산가액에 대하여 납부하였거나 납부할 증여세액을 공제
● 신고세액공제 :증여세 과세표준 신고기한 내 신고 시 세액의 3% 공제


연부연납·물납 ※ 증여세는 물납불가
(=) 자진납부할 세액

 

 

 

<주식등 증여 시 증여세 신고기한>

1. 주식등을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증여세 신고·납부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2. 이 경우 3개월이 되는 날이 공휴일·토요일·근로자의 날에 해당되면 그 공휴일 등의 다음날까지 신고·납부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주식과 세금_주식등의 증여세 계산방법, 신고기한 요약정리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상기 내용은 국세청 2023 세금절약가이드2의 내용을 기반으로 재작성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